짜장면은 중국 산동 지방의 작장면(炸醬麵 Zha Jiang Mian)에서 유래한 음식이고, 한국 짜장면의 원조는 인천 차이나타운의 공화춘이라고 많이들 알고 계실 겁니다.


그런데 전자는 맞는 말이라 하겠지만, 후자는 여러 가지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일단 현존하는 공화춘 자체가 예전의 그 공화춘이 아닙니다. 공화춘은 1905년 화교 우희광 씨가 오픈한 산동회관을 1911년 공화춘으로 이름을 바꾼 것인데, 1984년 문을 닫았습니다.(세세한 연도에 대해서는 1~2년 정도가 다르다는 얘기도 있으나 크게 틀리지는 않다고 보면 되겠지요.)


현재의 공화춘은 2002년 한국인이 상표등록을 하여 2004년 오픈한 곳으로, 현 공화춘의 짜장면 또한 1만 원짜리 명품 짜장면을 목표로 개발된 것이지 옛 공화춘의 것과는 거리가 멀다고 하겠습니다.


뿐만 아니라, 짜장면이 만들어진 시기와 장소 또한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는 다르다는 설이 유력합니다. 인천시에서는 짜장면의 역사를 공화춘의(그러니까 산동회관의) 오픈 시기와 결부시켜 100년 역사의 짜장면이라고 홍보하고 있었으나, 실제와 다르다는 이야기가 많이 나와 짜장면 박물관을 개관하며(지난 4월 28일 오픈) 이를 일부 반영한 듯합니다.(1890년대 인천항의 중국인 부두 노동자들이 먹기 시작했다는 거죠.)


현재 공화춘의 명맥은 공화춘 창업자 우희광 씨의 외손녀인 왕애주 씨가 남편 우유주 씨와 운영하는 신승반점이 잇고 있다고 보아야 할 터인데, 왕애주 씨는 코리아 포커스와의 인터뷰에서 공화춘에서 짜장면을 만들어 팔기 시작한 것을 6.25 이후로 이야기하고 있더군요.(공화춘은 우희광 씨의 아들이 이어받았고, 신승반점은 70년대 중반 우희광 씨의 막내딸이었던 왕애주 씨의 어머니가 출가하여 차린 것이라고.)


그렇다면 한국 짜장면은 누가 시작한 것이냐. KBS 한국인의 밥상에 의하면 아무도 모른다는군요. ^^; 인천항의 부두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한 싸고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음식으로 시작되었고, 이후에 청요리집에서도 취급하게 되었다는 것이 맞는 이야기일 것 같구요.



그러니까 한국인의 밥상에 출연한 손덕준 씨가 바로 태화원의 사장님인데요. 짜장면이 맛있다는 얘기를 듣고 방문을 해보았습니다.



방송 출연 많이 하셨네요. 제가 본 건 하나도 없는 것 같지만서도... ^^; 아, 하나 있군요. 한국인의 밥상.



탕수육 나쁘지 않군요. 다만 튀김옷이 파삭하지 않고 부드럽게 바삭한 느낌이라, 딱딱한 튀김옷 좋아하시는 분들께는 달갑지 않을 듯.



오늘의 메인 짜장면이 나왔습니다. 일단 색깔부터 검고 진하군요. 젓가락으로 비벼보니 짜장의 농도 또한 엄청 진합니다. 잘 비벼지지가 않을 정도. 그래도 제가 비비는 데는 일가견이 있는 편이라 시간과 정성을 들여 열심히 비볐습니다만, 성질 급한 분들은 대충 비벼서 드실지도 모르겠네요.


다 비비고 맛을 보니, 혓바닥에 짠맛이 먼저 다가옵니다. 평생토록 짜장면을 먹으면서 일찍이 느껴보지 못한 강도의 짠맛. 몇 입 먹으니 입이 적응을 하면서 그 맛을 즐길 수 있었습니다만...


맛있었습니다. 면빨도 훌륭했구요. 중국의 작장면이 한국의 짜장면으로 변화하는 초기 단계의 물건이 이렇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 맛이었달까요. 중국에서 작장면 먹어본 사람들 얘기를 들어보면 짜고 맛없다는(...) 소리를 많이 하는데, 태화원 짜장면의 짜고 진하고 강한 맛이 아마도 작장면에서 느낄 수 있는 그런 것이지 않을지. 반면에 모양새는 작장면과는 거리가 멀고 누가 봐도 짜장면의 모양을 하고 있으니 말이죠.(사실 작장면 스타일의 것을 파는 곳도 있습니다. 만다복의 100년짜장이 그것이죠. 그런데 이건 짜장면이라기 보다는 그냥 작장면...)



메뉴판에는 없습니다만 유슬짜장을 주문했습니다.(주문받는 분께 되냐고 먼저 물어봤죠.) 사실 유슬이 아니라 유니짜장을 주문했어야 하는 건데... 메뉴판에는 없는 건데 유니짜장이 맛있더라는 얘기를 주워듣고 주문한 거였거든요. 그게 대뇌처리 과정에서 오류가 나서...


여하간 유니짜장은 그저 채썬 고기가 들어갔을 뿐, 맛이 딱히 좋아진 느낌은 받지를 못했네요.(유니짜장은 갈은 돼지고기를 넣은 것이고, 유슬짜장은 채 썬 돼지고기를 넣은 것이죠. 슬은 중국요리에서 재료를 가늘게 채를 썬 것을 뜻하구요.)



사진 좀 그만 찍으라고 일행에게 구박받으며 덜어온 볶음밥을 찍었습니다. 먹어보니 볶음밥 잘한다는 가게들에 비하면 좀 떨어지지만 그래도 수준급의 볶음밥이네요. 곁들여 나온 짜장 또한 짜장면의 것처럼 짜고 진한 맛이 나는데요. 저는 원래 볶음밥에 짜장을 비벼 먹지 않는 사람입니다만(왜냐면 맛이 떨어지니까요.), 태화원의 짜장은 짜고 진해서 그런지 달고 묽은 일반적인 짜장과는 달리 볶음밥에 비벼도 볶음밥 맛이 떨어지지가 않더군요.


태화원보다 볶음밥이 더 맛있는 곳은 있습니다만 그곳들의 짜장은 태화원 것 같지가 않은지라, 태화원에서 맛봐야 할 음식으로 짜장면과 함께 볶음밥을 꼽고 싶네요.



마지막으로 군만두. 튀겨낸 기포가 살아있는 훈훈한 비주얼을 자랑합니다. 그런데 맛을 보니... 조리상태는 좋습니다만 만두도 본토 스타일인지 부추인가 파슬리인가의 향이 엄청 강합니다. 저 향신료 나름 잘 먹는 사람인데, 만두에서 이런 강한 향을 느끼니 조금 생소하기도 하고 부담도 되고 그렇더군요.


그러고 보니 디저트로 나온 빠스가 아주 맛있었는데 사진을 안 찍었네요.


결론적으로 태화원의 짜장면은 아주 만족스러웠습니다. 그렇다면 앞서 이야기한 신승반점의 짜장면은 어떨까요? 가보지는 못했습니다만 인터넷을 열심히 뒤져보니 짜장면의 비주얼은 노말했고, 맛에 대한 감상 또한 평이하더군요. 그러나 간짜장의 경우는 짜다는 얘기들을 많이 하고 있고, 종업원 또한 간짜장 소스를 다 넣으면 짜니 입맛에 맞게 적당히 넣으라는 코멘트를 해준다고 합니다.(아마 예전에는 그냥 내간 것 같은데, 사람들이 자꾸 짜다고 하니 요즘에는 미리 얘기를 해주나 봅니다.) 아마도 짜장면은 좀 더 대중화를 시켰고, 간짜장 이상 급들은 보다 옛맛에 가깝게 내는 것이 아닐까 하네요.


그밖에 (현존하는 가게 중) 차이나타운에서 가장 오래된 가게인 풍미의 경우 춘장의 맛을 살려 일반 짜장면에 비해 짠맛이 강한 편이라는 글을 보긴 했습니다만, 블로그 등에서 그런 내용의 감상을 적은 것은 딱 하나 발견했는데요. 아무래도 달지 않다 뿐이지 짜다고 하기는 좀 모자란 맛이 아닐까 생각되더군요.(사실 평범한 짜장면이라는 포스팅을 훨씬 많이 봤거든요.) 다만 짜장면의 비주얼은 역시 대중화를 시킨 것이긴 했습니다.(풍미는 57년부터 짜장면을 팔기 시작했는데, 당시 차이나타운에서 짜장면을 파는 가게는 공화춘과 풍미 두 곳뿐이었다는군요.)


그러니까 태화원 것과 같은 짜장면을 먹을 수 있는 곳은 아마 더 이상 없을 것 같네요. 맛도 좋지만 아끼고 보존해야 할 맛이라고 생각되는데, 일반의 입맛과는 동떨어진 음식이다 보니 그 맛을 알아주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지 궁금하기도 하고 걱정도 되고 그렇군요.(그나마 이것도 예전보다는 단맛이 도는 거라는 얘기도 있습니다만...)


마지막으로 태화원에 대해 첨언하자면, 태화원의 손덕준 사장은 화교 3세로, 손 사장의 아버님 또한 공화춘의 주방에서 일한 경력이 있으시다고 합니다. 비록 손 사장의 요리는 아버님이 아닌 아버님 친구분께 배운 것이긴 하지만요.(아버님께서 일찍 돌아가셨다고)


손덕준 사장은 짜장면의 옛 맛을 재현하고 부흥시키는 것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여, 직접 담근 춘장을 가지고 인천향토짜장면을 만들어 판매하기도 했습니다. 지금은 채산이 안 맞고 해서 메뉴에서 없어졌습니다만.


손 사장의 형제들 일부는 대만에서 살고 있습니다만, 한국에 있는 형제 3명은 인천 차이나타운에서 각각 태화원, 자금성, 중화루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서로 레시피를 공유하고 메뉴 또한 동일하며 방송에도 자주 나옵니다.(맛은 서로 미묘하게 차이가 난다는 얘기도) 1박2일에서 은지원이 사천짜장을 먹은 곳으로 알려져 붐비기도 했구요.(세 군데 다 1박2일에 나왔다는 문구를 붙이고 있는데, 실제 방문한 곳은 자금성으로 알고 있습니다.) 중화루에서는 샤이니의 민호가 드라마시티에서 짜장면 먹는 장면을 촬영하기도 했습니다.


※ 음식의 맛 평가는 가능한 객관적으로 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업소 방문은 2012년 4월에 이루어졌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인천광역시 중구 선린동 22

032-766-7688


+ Recent posts